소방원 장구란 해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선박 화재에서 본선의 승무원이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연기나 가스 때문에 화재 현장에 들어가기 어려울 때
화재에 대항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 기본적인 장비로서
개인장구인 방화복, 장화 및 장갑, 충격방지 헬멧, 전기안방화복, 방화장, 손도끼와 호흡구 (자장식 또는 펌프식) 및 호흡기에 비치되는 구명색으로 구성된다.

(1) 방화복
화재 가까이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접근용 방화복 (Proximity suit)과 짧은 시간 동안 815도씨까지의 화염에 직접 접촉하여도안전한 침투용 방화복 (Entry suit)가 있다.
(2) 호흡구
사용이 간편하여 선박에 주로 쓰이는 자장식 호흡구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와 수동이나 전기구등의 펌프, 연결호스와 마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기펌프식 호흡구 (Air pump type breathing apparatus)가 있다. 공기펌프식의 경우는 탱커선에서 필수적 장비 중의 하나이며 호스의 길이가 36m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1) 자장식 호흡구
용기에는 약 150kg/cm2로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며 고압 공기는 감압밸브로 약 5kg/cm2까지 감압시켜
숨을 들이쉴 때의 부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폐력 밸브로부터 필요량만 마스크에 공급된다.
폐력 밸브로부터 흡입되는 압력은 대기압이다.
감압밸브 고장의 경우 수동식 보급밸브가 장착되어 있어 핸들을 돌리면 용기내의 공기는 감압밸브를 통하지 않고 직접 마스크에 필요한 흡기량이 보급된다.
밸브는 특수구조로 되어 있어 전개해도 5kg/cm2의 압력으로 되며 핸들의 조정에 의하여 스스로 압력조정이 가능하다.
공기실린더는 30분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추가로 60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예비 실린더를 갖추어야 한다.
(성인이 정상 호흡시 30분이고 실제 사용시 인명 구조 및 과호흡으로 30분보다 더 짧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사용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
- 사용 중 경보기가 울리면 사용할 수 있는 공기가 10분 이내인 것이니 안전한 장소로 피난한다.
- 실린더는 항상 규정압력이 유지되도록 준비하고 점검한다.
- 각 연결부의 누설 여무를 확인하여 수리하여 둔다.
(누설 유무는 수조에 물을 받아 담그면 기포를 통해 알 수 있다.)
- 장착 전 압력계로 압력의 잔량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고 사용한다.
- 원칙적으로 인명의 구조 및 인명의 안전을 위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화재의 뒷처리 및 감시 등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한다.
- 평소 훈련을 통하여 사용방법을 철저히 익혀 둔다.
2) 공기펌프식 호흡구
한사람에게 필요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송풍기이며
호스의 길이는 최고 36m로 규정되어 있다.
(3) 구명줄
소방원과 보조자는 반드시 이 라이프 라인을 통해 상호 긴밀한 연락을 주고 받아야 하며,
그 신호방법은 미리 약속이 되어 있어야 하며 소화훈련시마다 반드시 미리 연습을 해두어야 한다.
(1회 당김 : 이상무, 2회 당김 : 전진, 3회 당김 : 후퇴, 4회 당김 : 즉시 구조, 짧게 연속 당김 : 긴급사태)
(4) 안전등
안전 등은 다음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 3시간 이상 조명시간을 가지는 전기식일 것
- 빛의 발사강도가 40 이상일 때
- 1.5m의 높이로부터 나무로 된 바닥에 계속 3회 낙하하여도 이상이 없을 것
- 가연성 기체가 있는 공기 중에서 점멸할 때 누화되지 않는 방폭형일 것
(5) 방화도끼
원양구역을 항해하는 모든 선박은 두 개의 방화도끼를 비치하여야 한다.
도끼의 날카롭고 뾰족한 끝은 수밀문이나 C급 구획 등의 비교적 강도가 약한 곳에
연기나 화재의 확산여부를 확인하가 위해 격벽을 재빨리 뚫는 데 사용한다.
넓은 부분은 여닫이 문을 통해 내부를 관찰하지만, 격실 구석진 곳의 노출을 위해서 사용된다.
'항해 관련 지식 > 기타 항해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initions about cargo handling, stowage and carriage (0) | 2022.11.04 |
---|---|
[항해 자료] 화물 적양하, 운반 및 이송에 관한 용어 정의 (0) | 2022.11.04 |
선박 자장식 호흡구 SCBA, 그 어디보다 상세한 설명 (0) | 2022.11.02 |
[기타 항해 자료] 선박 단위 변환, 선박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위 (0) | 2022.11.02 |
[선체] 선박 침몰시 구명벌 LIFE RAFT 작동 순서 정리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