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관련 지식/기타 항해 자료

[선체] 구명벌 Life raft 종류 구조 구성품 진수방법

monibee 2022. 10. 25. 01:09
반응형

ㄱ구명벌의 종류와 구조

 

구명벌(Life raft)은 팽창식과 구 형식으로 나누며, 팽창식은 다시 국제항해 종사선에 설치되는 1종 팽창식과 20톤 이상의 어선 및 연안 항해 종사선에 설치되는 2종 팽창식으로 분류되며 주요한 차이점은 표 1-1과 같다.

 

구분 / 종류 1종 팽창식 2종 팽창식 고형식
부양자세 일면이용, 뒤집혀 팽창시 바로 세울 수 있음 양면 사용 가능 양면 사용 가능
천막 자동 팽창식 수동 팽창식 설치 가능
바닥 전체가 기실 65% 이상 기실 침수방지구조, 인원 및 의장품을 안전하게 수상에 유지할 것
사용온도 -30 ~ 66도 -20~40도  

한편 구명벌의 구조는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주요부로 구성되어 있다.

 

1) 상부기실 (Upper buoyancy chamber

2) 하부기실 (Lower buoyancy chamber)

3) 바닥기실 (Bottom buoyancy chamber)

4) 지주기실 (Pole buoyancy chamber

5) 이산화탄소 용기 (CO2 bottle)

6) 텐트 (Tent)

7) 출입구 (Port hole)
8) 빗물 받이용 드레인 튜브

9) 라이프 라인(Life line)

10) 승강용 사다리

11) 표지등 (Marker light)

12) 의장품 수납대 (Equipment container)

13) 해묘 (Sea anchor)

 

구명벌 구성품

 

1) 페인터 Painter line

구명벌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줄이다. 자동 줄의 끝부분은 가느다란 강철 줄의 작동 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 용기의 커터 장치에 삽입되어 있고, 다른 반대쪽 끝단은 적재대에 연결되어 수동 투하 시 또는 자동으로 이산화탄소를 터트려 구명벌을 팽창시킨다. 

 

2) 투하용 손잡이 및 안전핀 Release handle for dropping

투하용 손잡이는 구명벌을 수동으로 투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안전핀을 제거하고 투하용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투하된다.

 

3) 위크링크 Weak link

위크 링크는 일정한 크기의 장력 (2.2+-0.4kN)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절단되는 링크이다. 위크 링크는 본선이 침몰할 때 구명벌 자체의 부력으로 인하여 규정 장력에 도달하면 분리되어 본선과 함께 침몰하는 것을 막아준다. 또 이 링크는 구명벌을 수동으로 투하하는 경우는 특별히 문제가 없으나, 본선이 침몰하여 자동 팽창되었을 경우 수중의 생존자가 구명벌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다.

 

4) 자동이탈장치 HRU / Hydraulic release unit

본선 침몰시에 구명벌을 본선으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시키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심 4m 이하의 수압에서 작동하여 본선으로부터 자동 이탈되어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명벌 진수 방법 3가지

 

1) 투하용 손잡이에 의한 수동 진수

바다로 구명벌을 투하 후 Painter line을 잡아당겨 터지게 만든 뒤 사다리로 승정하는 방법

-Weak link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고박줄(Painter)이 자동 이탈장치에 고박되어 있는지 확인

-안전핀 제거

-투하용 당김 봉을 강하게 당겨 투하

- Painter로 뗏목을 끌어당겨 선박에 접현시킨 후 사다리를 이용 탑승한다

- 뗏목에 비치된 안전도(Knife)로 painter를 자른 후 선박으로부터 이탈한다.

 

2) 싱글암 대빗에 의한 진수

이 장치는 격납된 갑파에서 팽창시켜 승무원이 탑승하면 바로 강하할 수 있는 장치로서 최근에 건조된 선박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구명벌은 그 목적에 맞도록 특수하게 제작되어 있다. 즉, 인원과 의장품을 만재한 상태에서 진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으며, 본선이 동요 중이라도 탑승 갑판에서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바우싱(Bosing line)이 부착되어 있고, 착수 후에 탑승자가 구명벌을 대빗 폴(Fall)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갖추어져 있다.

 

- 본선의 안전레일을 걷어낸다

- 구명벌을 대빗 폴에 연결하고 바우싱 라인을 묶는다

- 대빗 폴을 당겨서 구명벌을 팽창시킨다.

- 승무원이 탑승한다.

- 바우싱 라인을 풀어낸다

- 구명벌이 착수하면 이탈용 밧줄 (Releasing landyard)을 당겨서 대빗 폴과 구명벌을 분리시킨다.

 

3) 이탈장치에 의한 자동팽창

앞의 방법들은 침몰하기 전에 사용하는 방법이고 선박이 침몰한 후에도 구명벌은 이탈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떠오른다.

선박이 가라앉으면서 수압으로 인해 HRU (Hydraulic release unit)이 작동하여 Lashing이 풀리고 

Life raft가 부유하면서 Painter line을 당기게 되어 터지게 되며

Life raft가 떠오르며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Weak link가 부서지면서 물 위로 떠오르게 된다.

말로 설명하면 이해하기 어렵기에 아래 그림과 함께 설명을  참조 바란다.

 

- 선박이 침몰하여 이탈장치에 0.25~0.35kg/cm2 정도의 수압이 작용하면 (수심 4m 이하) 이탈기가 작동하여 고정와이어(Lashing wire)가 제거된다.

- 용기 자체는 부양성을 가지므로 배가 침몰하는데 따라 자동줄(Painter line)이 당겨져 빠져 나온다.

- 자동줄이 다 빠져 나오면 가스 작동줄이 이산화탄소 용기에서 당겨지므로 구명벌이 팽창된다.

- 팽창된 구명벌의 부력에 의해 Weak link가 일정한 힘에 의해 절단되면서 본선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줄(Painter)은 구명벌과 분리된다.

- 조난된 사람은 떠오른 구명벌에 탑승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