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관련 지식/기타 항해 자료

[선박 선체] 구명정의 종류, 진수장치 및 각부 명칭

monibee 2022. 10. 23. 17:49
반응형

구명정의 종류

대부분의 상선이 기계 추진 장치부 구명정 타입과 전폐형 구명정을 채택한다. 다만 케미컬 운반선 등의 특수선은 내화 구명정을 채택한다.

 

1. 추진 방식에 의한 분류

   1) Oar식 구명정 (Oar-rowing lifeboat)

   2) 기계 추진 장치부 구명정 (Mechanically propelled lifeboat)

   3) 발동기부 구명정 (Motor lifeboat)

2. 형상에 따른 분류

   1) 개방형 구명정 (Open type lifeboat)

   2) 부분폐형 구명정 (Partially enclosed lifeboat)

   3) 전폐형 구명정 (Totally enclosed lifeboat)

   4) 내화 구명정 (Fire protected lifeboat)

       전폐형 구명정에 워트 스프레이를 뿌려 화재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춘 것을 말한다.

 

구명정의 진수장치 (Davit의 종류)

 

구명정을 진수시키는 장치를 보트 대빗 (Boat davit)이라 한다. 대빗은 각구명정마다 설치되어 있고, 구명정 진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케이트(Skate)나 기타 적당한 장치를 비치히고 있다.

 

또한, 가능한 한 최단 시간에 느정도 30분을 넘지 아니하는 시간에 진수될 수 있어야 한다. SOLAS 1983 개정 협약에서는 2인이 5분 이내에 가능하도록 항상 준비상태를 유지할 것과 퇴선 신호 후 10분 이내에 전체 퇴선이 가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1. Radial davit

대빗의 축을 회전시켜 구명정을 수평방향으로 돌려 진출시키는 형식으로 종래에는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소형선박에만 설치된다. 조작이 복잡하고 위험하여 선체 동요나 경사가 심할 때는 swing out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2. Pivot davit

스쿠루(Screw) 장치로 되어 있어 핸들을 돌리면 대빗의 하단을 지점(Point)으로 하여 대빗이 선내외로 움직이게 된다. 기계식 대빗 중 가장 오래 전에 고안되었으며, 그 종류도 많다. 중력형보다는 보트를 sing out 시키는데 노력과 시간이 많이 걸린다.

3. Quadrantal davit

대빗의 하부를 부채꼴로 하고 차차 장치에 의하여 구명정을 이동시키는 대빗이다. Pivot davit와 같이 수동에 의하여 대형의 구명정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4. Gravity davit

보트의 무게에 의하여 선외로 내릴 수 있는 대빗이며, 대빗 하단을 기점으로 하여 진출되는 형식과 대빗의 롤러가 트랙에 미끄러져 진출되는 형식(Roller track way type)이 있다.

브래이크 핸들을 들어올려 구명정을 강하하고, 이때 강하속도는 독립된 원심력 브레이크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대빗을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트리거(Trigger)식으로 된 안전장치가 있고, 보트 윈치나 보트 폴 (Boat fall)의 교체, 수리시에 대빗을 고정시키는 하버 핀 장치가 있다.

5. Free fall type davit

자유낙하 구명정은 10도 까지의 트림과 20도 이상 선박이 경사한 상태에서 정원과 의장품을 만재하고, 선박의 최대경하 항해상태의 흘수선상의 탑재위치로서 설계된 최대 높이로부터 진수될 때 생기는 가속도에도 보호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반응형

 

구명정 대빗(davit)의 각부 명칭

 

(1) 크레이들(Cradle) : 구명정 진수 및 격납시 와이어로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로서 활강로를 따라 구명정을 선외로 이동시키거나 대빗에 고정시켜 준다.

(2) 크레이들 스토퍼(Cradle stopper) : 활강로를 가로지르는 강재 사각봉으로 크레이들이 활강로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며, 구명정 진수시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크레이들 스토퍼 핀(Cradle stopper pin) : 구명정을 고박시킨 후 크레이들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4) 시 페인터 (Sea painter) : 구명정이 진수된 후 앞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본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평상시에도 묶여 있다.

(5) 쉬브(Sheave) : 대빗에 부착된 도르래로서 대빗 와이어가 통과하며 와이어 꼬임방지와 하중을 감소시켜 원할하게 구명정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6) 플로팅 블록(Floating block) : 구명정과 대빗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는 블록으로 구명정 선수미에 있으며 구명정 훅(Hook)에 연결되어 있다.

(7) 보트 쵸크(Boat chock) : 구명정 고박시 구명정 현측에 접착되는 것으로, 선박 횡요시 동요로 인한 구명정의 파손 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대빗에 목재나 고무로 부착되어 있다.

(8) 패드 아이(Pad eye) : 구명정을 고박하는 와이어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는 구멍(Hole)으로 크레이들 상부와 갑판상에 설치되어 있다.

(9)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 크레이들을 지지하는 지주대(Frame)에 조그맣게 부착되어서 구명정 격납시 크레이들이 지주대(Frame)에 도달하면 이 밸브를 눌러 원동기나 유압기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크레이들 작동을 정지시켜 대빗 와이어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게 하는 일종의 안전장치이다.

(10) 킬 레스트 (Keel rest) : 크레이들에 부착되어 구명정 고박시 구명정 용골(Keel)이 안착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충격완화를 위하여 목재가 많이 쓰인다

(11) 보트 윈치(Boat winch) : 전기나 유압을 사용하여 윈치(Winch)를 작동시켜 대빗 와이어를 감아 구명정을 격납시키는 역할을 하며 대빗 와이어를 감는 드럼이 부착되어 있어 수동으로 윈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

(12) 대빗의 와이어 로프 (Wire rope) : 구명정 진수와 격납시 대빗과 구명정을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로 구명정 하중을 견디며, 여러개의 도르래 (Sheave)를 통과하며, 보트윈치 드럼에 감겨져 있어 크레이들을 위, 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여러 개의 도르래와 블록을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는 마모가 빨리 되므로 통상 2년에 한번 씩 앞과 뒤를 바꾸어 주고, 4년마다 새 와이어 로프로 교환한다. (1974 SOLAS의 1983 개정에는 2년6개월에 앞과 뒤를 바꾸어 주고, 5년마다 새로운 와이어 로프로 교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13) 핸드 브레이크 (Hand brake) : 구명정을 강하시키는 일종의 조종레버로 안전핀을 제거하고 위로 들어올리면 구명정 자체 무게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며 들어올리는 높이를 이용하여 구명정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14) 토글 핀 (Toggle pin) : 고박시 슬립 훅이 벗겨지지 않게 하고 핀이 제거하면 슬립 훅을 풀어 고박용 와이어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핀이다.

(15) 보트 폴 (Boat fall) : 구명정 하강시 필요한 대빗 와이어 로프를 말하며, 하강시 구명정 하중을 견디며 구명정 균형을 잡아준다.

(16) 구명정 이탈기(Releasing gear) : 구명정이 진수되었을 때 플로팅 블록의 폴 링크(Fall link)로부터 구명정을 이탈시키는 장치로서 이탈 손잡이(Releasing handle)을 당기면 구명정의 양끝이 동시에 폴링크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어떤 사정상 이탈기를 작동하지 않고 이탈하고자 한다면 폴링크는 손으로 각각 이탈시켜야 한다.

Releasing gea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