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관련 지식/선박 운용

선박 운용, 선박 항만 하역 설비 (데릭, 크레인, 태클, 배력)

monibee 2022. 12. 9. 00:52
반응형

선박 운용, Chapter 6. 하역 설비 

 

1. 하역설비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각각의 특징

1) 데릭식 하역설비

   - 데릭식 하역설비 구성 :

      데릭 포스트 derrick post, 데릭 붐 derrick boom, 윈치 winch, 로프

   - 데릭식 하역설비 사용처 :

       주로 목재 운반선, 다목적용 운반선에 설치되어 사용

   - 윈치의 종류 :

       토핑 윈치 topping winch 데릭 붐을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

       슬루잉 윈치 slewing winch 붐을 회전시키는 역할

       카고 윈치 cargo winch 화물을 달아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

선박에 설치된 데릭 사진
선박에 설치된 데릭 derrick 사진

2) 크레인식 하역장치

 

크레인은 부두에 설치되어 하역작업을 간편하고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하역준비 및 격납이 쉬워 벌크캐리어나 컨테이너 운반선에 많이 쓰이고 있다.

 

 - 크레인의 종류 : 

    지프크레인 (jib crane) 위치가 고정된 크레인

    갠트리 크레인 (gantry crane) 선수미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역하는 크레인

Jib crane & Gantry crane, 지프 크레인과 갠트리 크레인Jib crane & Gantry crane, 지프 크레인과 갠트리 크레인
Jib crane & Gantry crane, 지프 크레인과 갠트리 크레인

3) 하역용 펌프

 

원유를 비롯한 액체 화물의 하역은 펌프에 의해 이루어지며, 보통 적화는 육상 펌프,

양하는 선박의 펌프를 사용한다.

원심 펌프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하역 용량이 커서 초대형 유조선도

24시간 이내에 하역을 마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4) 특수 하역 설비

 

   - 컨테이너 운반선의 하역

     육상의 크레인을 이용할 수 없는 항구에서 컨테이너 하역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겐트리 크레인을 장비하고,

     여기에 스프레더(spreader)를 부착시켜 하역하는 선박도 있다. 

   - 셀프 언로더(self-unloader)

      셀프 언로더는 석탄, 광석과 같은 산적 화물의 하역에 이용되며,

      선창을 깔때기 모양으로 하고 아랫부분에 컨베이어(conveyor)를 설치하여 ,

      각 선창의 화물을 선수 부근의 한 구역으로 이동시켜

      여기에서 집중적으로 선외로 양하 한다. 시멘트 전용선의 하역설비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되어 있다.

self unloader 셀프 언로더
self unloader 셀프 언로더

2. 태클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1) 태클 :

       태클이란 블록과 로프를 결합하여

      작은 힘으로 중량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시키는 장치

    2) 태클의 구성 :

       로프와 블록으로 구성,

       태클을 형성하는 로프 전체를 폴(fall)이라 한다.

    3) 태클의 종류 :

       1. 러너 2. 싱글 휩 3. 더블 휩 4. 건 태클 5. 러프 태클 6. 투폴드 퍼처스

     

테클의 종류 (1.러너 2.싱글휩 3.더블 휩 4.건 태클 5.러프 태클 6. 투폴드 퍼처스)
테클의 종류 (1.러너 2.싱글휩 3.더블 휩 4.건 태클 5.러프 태클 6. 투폴드 퍼처스)

반응형

 4) 태클의 관리

     - 사용 전에 로프의 꼬임을 풀어준다

     - 중량물을 올릴 때에는 블록, 샤클,

       아이 플레이트의 강도에 유의한다.

     - 당김 줄과 고정 줄은 가끔 바꾸어 설치한다.

     - 중량물을 내릴 때에는 중력 가속도에 의한

        하중도 가산되므로 천천히 내린다.

  

   5) 태클의 부속구

     - 아이 플레이트 (eye plate)

       샤클, 태클 등을 부착하기 위해 선체에 부착된 고리

     - 와이어 클립 (wire clip)

       두 가닥 와이어로프를 연결하는 데 사용

     - 턴버클 (turnbuckle)

       로프를 팽팽하게 당길 때에 사용

 

   6) 태클의 배력

     - 배력 : 하중 & 당김줄에 가해지는 힘의 비율

     - 저항을 무시할 때 배력은 태클에서

       이동 활차에 걸리는 로프 가닥 수와 같다.

     - 실제로는 시브(sheave)와 핀(pin) 및 셸 사이,

        그리고 로프(rope)와 시브(sheave) 사이에는

        마찰이 있어 실용 배력은 이보다 작다.

     - 마찰을 고려한 배력을 계산하는 약산식은 다음과 같다.

        실용 배력 = 10 * n / (10+m)

        (m : 시브의 총수, n : 이동 블록을 통하는 로프의 가닥수)

728x90
반응형